목록한국뱃길 (36)
회상이 될 길의 기록

12시35분 한림페리9호는 금오도 북단 여천항에 접안을 했다. 3년 가량의 세월이 흘러 엄마를 데리고 세 번을 오게 된 섬,허나 반기는 이 있을리 만무한 그래서 오늘도 잠시 머물다 떠날 섬이다. 한국뱃길 - 금오도 함구미항에서 백야도 백야항 (2025.1.12) 이제 좀 비렁길 인기가 수그러들었는지,아니면 날이 차가워 오늘은 트레커들이 안오는 건지..., 겨울,섬과 항은 그저 바다와 그저 햇살과 그저 바람뿐이다. 일단은 안도로 들어가 점심을 먹고,이단은 안도를 나와 함구미항으로 가는 것이 오늘의 금오도 서성임이다. 하늘빛은 바다빛을 닮아가고...,바다빛은 하늘빛을 닮아가고..., 그러함이 보돌바다 금오도를 오게 했음이다. 13시쯤 안도대교 건너 안도에 들었다..

10시50분쯤,봉황산자연휴양림에서 77번 국도 신복교차로로 내려서니, 하늘은 맑은데,갈 곳은 없는 그런 날의 그런 심정이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서는,순천, 광양, 하동, 사천, 진주, 함안, 창원, 김해를 지나지만 어떠한 끌림도 없었다. 한국뱃길 - 돌산도 신기항에서 금오도 여천항 (2025.1.12) 에라이 모르겠다.일단 보이는 화태대교 건너 화태도나 드갔다 나오자~ 오늘처럼 이래 추운 몇년 전의 어느 겨울날,나는 여수 시내버스를 타고 화태도로 들어가,섬을 일주하고도 부족해 꽃머리산까지 오른 다음,금줄 넘어 화태대교 남단으로 내려와 돌산도로 건너왔다. 그날처럼 오늘도 추운데,그날은 마음이 막 설레였는데, 오늘은 그저 그렇다. 늙어 그런가비라~ 한산도의 한과 여수의 ..

10시25분 국립변산자연휴양림을 출발,어제 저녁 휴양림으로 간 그 길을 되돌아 10시40분쯤 격포항에 닿았다. 22년7월27일 정읍에 사는 깻다리 형님과 같이 간 고슴도치 섬 위도를,이번에는 엄마와 같이 가고자..., 한국뱃길 - 격포항에서 위도항 (2024.11.10) 내가 정한 서해와 남해의 경계는,명량의 울돌목에 놓인 제1진도대교와 제2진도대교 그 사이 해역이다. 엄마가 탄 차를 철부선에 실을 수 있는,남해의 뱃길은 최소 90% 이상은 섭렵을 했지만,서해의 뱃길은 목포항 이후로의 항로에는 아직 한 번도 승선을 하지 않았다. 목포항 이후(북위)의 항로에 엄마가 탄 차를 철부선에 싣고자,10시40분 격포항여객터미널에 도착을 했고.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발권을 했다. ..

비바람에 제주를 오가는 항공편의 무더기 결항으로,제주공항은 난감한 처지에 빠졌지만, 이 정도 비바람쯤은 운항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는,제주항은 제시간 승선을 독려하는 톡을 연신 보내왔다. 한국뱃길 - 제주도에서 완도 실버클라우드호 승선기 (2024.5.5) 세화오일장 대신 동문시장에서 장을 보고 나오니 16시30분쯤이었고,일 없이 도두항까지 둘러 제주항국제여객터미널에 도착을 하니 17시가 조금 지난 시각이었다. 한반도와 제주도를 오가는 대형카페리호에 차량 선적이 포함 된 승선절차는,도대체 어떤 놈들의 뇌에서 창안이 되었는지, 절대 이해불가다. 엄마를 여객터미널에 내려주고,나는 차량 선적을 위해 6부두로 갔다. 19시30분에 출항을 하는 카페리에 차를 싣기 위해,17시30분..

오월은 계절의 여왕이 아니라,오월은 두 번의 공휴일이 있어 행복한 달이다. 어린이날의 대체공휴일이 낀 삼일간의 연휴,집을 베이스캠프로 '하루 하루 어디를 가노'란 고뇌를 하느니,차라리 속 시원하게 제주도나 갔다올까, 싶었고 엄마에게는 힘든 여정이지만 그리 하기로 했다. 문제는 제주도를 오가는 교통편이었다. 뉴스에서는,관광객이 급감을 한다니, 엔저로 대신 일본을 찾는니, 해샀지만,막상 주말에 부산발 제주행 항공권은 구경조차도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뱃길 - 목포에서 제주도 퀸제누비아2호 승선기 (2024.5.4) 제주도로 간다.그러기 위해서 317km 서쪽에 있는 항구 목포로 가야한다. 03시20분에 집을 나서,순천영암고속도로 보성녹차휴게소에 딱 한 번을 정차하고,전남 목포시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