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뱃길 (36)
회상이 될 길의 기록

어제 강릉에서 집으로 오니 22시40분이었고, 홀로 소맥 4잔을 마시고 그대로 뻗었다. 일어난 일요일 아침, 창으로 들이쬐는 햇살이 너무도 고운 날이었다. 이리도 볕이 좋은날에 머물러 있음은 하늘의 성의를 무시하는 짓이라서, 엄마를 독려해 11시30분쯤 집을 나섰다. 한국뱃길 - 거제도 궁농항에서 저도선착장 (2023.3.5) 매물열도 선상투어를 궁여지책으로 거제도 남단 저구항으로 가는 길, 서너 번 신호를 받는 옥포시내와 비좁아 터진 지세포시내를 통과해, 편도 1차로의 굽어진 14번 국도를 따라가는 그 길이 출발부터 지겨움으로 다가온다. 그러다 가덕해저터널을 나와 제1사장교를 지날 때, 어..., 저기..., 저나 가볼까..., 싶었다. 2차로로 차선을 변경하고, 검색을 한 선사에 전화를 넣으니 14시..

설날 아침, 한반도 동북단 마차진에서 엄마와 떡국을 먹으며 티비를 보는데, 한반도 서남단 청산도의 풍경과 그 섬에 사는 사람들의 삶이 방영되고 있었다. 극점으로 와 그 극점에서 대각으로 극점인 곳을 접하니 풍경의 이질감은 대단했고, 봄이 오면 엄마가 탄 차를 철부선에 싣고 저 섬으로 갈 것이라, 마음을 굳혔다. 허나 기다리면 세월은 더디게만 간다. 제비가 와야 봄이 오는데..., 제비는 커녕 매화도 피지 않는다. 봄, 청산도..., 하지만 흐르는 세월에서 봄과 청산도만을 바라보고 마냥 머물 수 만은 없었다. 한반도 서남권역의 해역에는 아직도 엄마에게 보여주지 못한 무수한 섬들과 그 뱃길이 산재해 있고, 시린 겨울풍경만으로도 탐방의 이유는 충분하다. 한국뱃길 - 완도항에서 청산도항 (2023.2.4) 20..

금일도 동단에 위치한 동송항에 내리니 17시10분이었다. 처음 온 낯선 섬, 전복의 먹이가 되는 다시마를 키우며 살아가는 섬, 보여줄 풍경도 내놓을 맛도 없는 그저 사람 살아가는 섬, 읍의 행정단위를 유지하는 섬의 중심부를 잠시 서성이다가, 연륙화가 된 인근의 약산도로 나가는 철부선이 출항을 하는 일정항으로 감이, 오늘 엄마와의 평일도라고도 불리우는 보성만 남쪽 해역에 떠 있는 금일도 탐방의 전부가 됐다. 한국뱃길 - 금일도 일정항에서 약산도 당목항 (2022.11.5) 풍경을 팔아 살아가는 섬이 아니기에, 둘러보고 나발이고는 의미가 없는 금일도 입도였다. 17시20분쯤, 읍사무소가 위치한 섬의 중심지에 잠시 차를 세웠다. 엄마는 화장실로 가고, 나는 하나로마트에서 빵 두 개와 음료수 한 병을 샀다. 그..

일어나니 하늘이 너무도 맑았다. 그 맑음속에 펼쳐진 세상속으로 떠나지 않을 수 없었다. 11시쯤 집을 나서 무작정 남해고속도로에 차를 올렸다. 오늘은 또 어디를 서성이다 돌아와야 할지..., 생의 고민과 번뇌는 늘 길에 있다. 한국뱃길 - 거금도 우두항에서 금일도 동송항 (2022.11.5) 13시30분쯤 광양나들목을 빠져나왔다. 그렇지만 190km 고민과 번뇌속에서도 오늘 갈 곳을 정하지는 못했다. 일단은 고흥 과역으로 가 점심부터 먹기로 했다. 늘 흡족함을 주는 식당이었다. 다소 입맛이 까다로운 엄마도 이 곳에서 만큼은 밥 한 공기를 다 비운다. 그나저나 이제 오늘 여정은 무조건 지금 정해야 한다. 77번 국도 해상교량들이 만든 바닷길을 건너 여수로 간다? 27번 국도 소록대교를 건너 소록도를 둘러보..

가을이다. 어디론가 떠나기 좋은 날들이다. 이 좋은 가을날에, 사람들은 울긋불긋 단풍이 물든 산으로 간다. 이 좋은 가을날에, 나는 엄마가 탄 차를 철부선에 싣고 파란 하늘빛에 물든 푸른 바다를 건너 섬으로 간다. 한국뱃길 - 통영항에서 연화도 연화항 (2022.10.15) 차를 배에 싣고 입도를 해 일주를 할 수 있는 통영의 섬은, 사량도와 욕지도 그리고 견내량 북부해역 지도와 남부해역 한산도가 어쩌면 전부다. 비포장이지만 일주도로를 가진 두미도는 하루 두 번뿐인 항차에 그 시간마저 여의치가 않아 못가고, 남부해역 약1.5km의 해안도로를 가진 상노대도 역시 두미도와 같은 뱃길이라서 못간다. 이 좋은 가을날에는, 푸른 바다를 건너 햇살마저 평화로운 섬으로 감이 타당한데..., 서너번 간 섬으로는 더 이..